현재 가장 이슈화 되고 있는 HTML5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 합니다.
물론 많은 매체를 통해 이미 접해보셨겠지만, 이 부분에 전혀 관심을 갖지 않는 분들은 HTML5가 뭔데? 먹는거야? 하시는 분들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간략하게 이야기 하려 합니다.
모바일 인터넷이 급속도로 대중화하고 있는 가운데 'HTML5'가 차세대 웹 표준으로 급부상하면서 인터넷 이용환경에 일대 혁신을 예고 할 것이라는 말에
실로 많은 개발자와 디자이너들에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웹 환경을 둘러싼 여러가지 고질적인 문제점 및 불편을 획기적으로 해결 줄 거라는 기대가 크기 때문이고,
현재 그 기대에 부응이라도 하듯, 플래시에서나 구현이 가능하였던 액션들을 플러그인 없이 구현이 가능하도록 여러 엘리먼트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을 통한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는 요즘 모바일 인터넷에 장점이 있는 HTML5 기반도 확산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최대 포털인 네이버가 단계적으로 플래시 사용을 줄이고 있으며,
정부에서 HTML5 기반 웹플랫폼 개발을 월드베스트소프트웨어 프로젝트 1차 과제에 포함하는 등 차세대 표준 대응 작업이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해외업체인 애플은 HTML5 표준 확산의 전도사 역할을 자처하고, 자사의 웹 브라우저인 `사파리`를 통해 가장 먼저 HTML5를 지원한 바 있으며,
아이폰과 아이패드에서도 대표적인 플러그인 기술인 어도비 플래시 지원을 거부하면서 HTML5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습니다.
세계최고 검색사이트라 이야기 할 수 있는 구글 역시도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고도 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기어스(Gears)`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으나
최근 이를 폐기하고 HTML5 확산에 집중하고 웹 브라우저 `크롬`에 이어 검색서비스 첫 화면에도 HTML5를 도입하였습니다.
어도비 플래시에 대한 대항마로 실버라이트 기술을 개발한 마이크로소프트조차 최근 HTML5를 지원, HTML5환경에 맞는 IE9.0 베타오픈을 추진하면서 대세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를 봤을때 앞으로 플래시 환경이 대부분 HTML5 체제로 바뀌지 않을 하는 얘기도 나오고 있으며,
현재도 HTML5로 개발한 웹사이트가 하나둘씩 생겨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진 플래쉬나 플렉스와 같은 기능을 대체하기에는 시기상조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플래쉬나 플렉스로 인해 높아질때로 높아진 사용자에 눈높이를 어떻게 맞출 수 있을건인지 좀 더 지켜봐야 할거 같습니다.
또 어도비사에서도 더 나은 대책방안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살짝 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