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ponsive Web-이제부터 행사 사이트는 반응형 웹으로!

2013-07-23   조회수 : 5701
반응형 웹, 어떻게 태어났지?

과거의 웹디자인은 ‘해상도 최적화’라는 틀 안에서 제한적일수 밖에 없었다.
과거엔 흔히 ‘이 사이트는 1024x768의 해상도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라는 문구를 볼 수 있었고, 제작자는 그 제한된 공간에 디자인을 짜맞추는 형식이었다.
그래도 그때는 PC 모니터 해상도의 종류가 몇가지 없어서 가장 작은 해상도에 맞춰 작업하면 큰 화면에서 조금 허전해 보이기는 해도 웹 접근성에 큰 문제가 되진 않았다.

그러나 점점 PC 화면의 비율 , 해상도가 다양해지고 노트북, 넷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생겨남에 따라 제작자들은 일일이 사이트를 모든 디바이스에 최적화 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과 마주하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이 탄생하면서 혁신처럼 모바일 환경에서도 PC처럼 브라우저에 자유롭게 접속해 확대 축소하며 웹서핑이 가능해졌지만 이 혁신은 오래가지 못했다.
아주 작은 모바일 화면에서 일일이 확대를 해가면서 웹서핑을 하기란 아주 불편했던 것!
게다가 애플의 아이폰은 플래시 지원도 하지 않아서, 플래시 중심이었던 기업 사이트나 포털사이트들은 사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 ‘모바일 웹’이라는 형식으로 모바일 사이즈에 맞는 사이트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모바일 사이트'는 플래시를 배제하고 이미지를 최소화 하여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우선시하며, 버튼 크기도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춘 맞춤형 UI를 차용한다.
모바일 사이트의 개발로 잠시 사용자들의 불편이 감소하는 듯 하였으나 그 후 PC의 성격과 모바일의 성격을 모두 갖고있는 태블릿 PC의 탄생으로 제작자들은 또 다시 더욱 편리하고 합리적인 코딩법에 대한 갈증이 시작되었다.
“세상에, 앞으로 얼마나 많은 디바이스가 나올지 모르는데
이 모든 사이즈를 일일이 다 디자인 해야돼?!”
제각기 다른 태블릿 PC , 모바일 , PC의 해상도에 맞게 일일이 사이트를 작업 해야하는 비효율적인 작업을 줄이고 디바이스 환경에 맞춰 최적화 된 웹페이지를 제공할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는 과정에서 개발된 것이 바로 반응형 웹이다.
 

반응형 웹, 정체를 밝혀라

반응형 웹 이란, 이름 그대로 HTML5의 “미디어 쿼리”를 이용하여 브라우저의 가로 사이즈에 따라 마치 웹이 살아있는 것 처럼 레이아웃을 최적화하여 모든 디바이스에서 최적의 상태로 컨텐츠를 제공 할 수 있는 기법이다.
대부분 그리드 기반의 레이아웃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브라우저 크기가 변했을 때 어색함이 없도록 디자인 하기 위해서이다.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디바이스에 모두 대응할 수 있는 페이지를 만들 수 있으며 수정 및 관리가 쉬운 것이 장점이다.
반응형 웹에는 2013년 디자인 트랜드 중 컨텐츠 중심의 미니멀 디자인이 사용되어지는 추세이다. 그리드 기반의 레이아웃과 잘 어울리고, 화려한 이미지를 사용했을때 보다 모바일에서의 로딩이 빠르기 때문이다.

반응형 웹을 제작할 때 주의할 점은 컨텐츠의 중요도에 따라 각 해상도의 레이아웃마다 어떤 컨텐츠를 강조해야하는가, 모바일로 보여졌을 때에는 사용자의 동작이나 편의성에 맞게 버튼 및 컨텐츠를 어디로 배치할 것인가에 대한 컨텐츠의 구조화가 탄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복잡한 정보 구조의 형태를 서비스 목적성과 일관성, 연속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반응형 웹의 단점을 말하자면, 반응형 웹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미디어 쿼리(Media Query)는, CSS3 속성으로서 Internet Exeplorer 8 이하의 버전에서는 사용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IE9 이상의 브라우저나 크롬이나 파이어폭스 등의 브라우저를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전부 미디어 쿼리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에서는 큰 문제가 없다.

또, PC버전에서의 큰 이미지를 모바일에서는 보이지 않게 하는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보다 더 큰 이미지를 불러와서 불필요한 데이터가 로드될수도 있으며 이미지가 자동으로 리사이징 되는 것은 CPU의 사용량을 증가시켜 부담을 줄 수도 있다.

그러나 한번 구현 해 놓으면 디바이스나 시스템적으로 사이즈의 제약이 없어지기 때문에 관리와 운용이 편리하다는 측면에서 전 세게적으로 필수 트렌드로 자리잡고있다.

이번에 리뉴얼 되는 네오다임 웹 사이트도 이러한 웹 트렌드에 발맞추어 컨텐츠 중심의 반응형 웹으로 제작되었다.
모바일 기기의 접근성을 높여서 네오다임의 모든 방문자가 네오다임의 보물같은 컨텐츠들과 포트폴리오들을 좀 더 쉽게 확인 할 수 있게하였고, 메인에 SNS를 반영하여 소통의 창구를 열어 두었다.
트렌디한 옷으로 갈아입은 네오다이머의 새 집이 활발한 교류와 업데이트로 LIVE한 사이트가 될 수 있길 기대해본다! :D
writer♥슈퍼소닉

반응형 웹으로 제작된 국내사이트 몇가지를 소개합니다. 창 크기에 따른 레이아웃 변화를 느껴보세요.
Microsoft 
현대자동차 기업문화 홍보사이트 
삼성전기 
LESS AN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