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Insights 3호
2013-08-07 조회수 : 2316
 |
 |
제 3호 / 발행일 2013년 7월 15일 | | |
IT 동향 |
전세계는 지금 3D프린팅 경쟁 본격화 |
초기의 토트프린터를 기억하는 분들이 계실런지? 프린터의 대중화를 이끈 대표적인 업체 중의 하나가 HP이고, 그 제품이 데스크젯이다. 데스크젯이 나오면서 기업이 아닌 일반 가정에서도 프린터를 살 수 있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고 그로 인해 이제는 초등학교 과제도 집에 프린터 한대쯤 있어야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3D 프린팅 자체는 새로운 기술이 아니다. 그러나 지금 3D 프린팅에 주목하고 있는 이유는 3D의 데스크젯이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조만간 웬만한 가정에서도 한대쯤 살 수 있는 수준의 3D 프린터 제품이 속속들이 발표될 것이라는 점 때문이다.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변화는 다만 IT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국내에서도 3D 프린팅에 대한 본격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관련 뉴스에 주목하고 관련 업체를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 기회에 주목해 보시길 바란다. |
 |
관련자료1 | |
 |
관련자료2 | | |
IT벤더와 애널리틱스 |
수십 년 동안 IT 벤더들은 'S', 즉 솔루션들을 공급해왔다. 과거의 'S'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 상품 묶음을 판매하는 작은 솔루션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선두기업의 'S'는 애널리틱스를 이용해 해결하길 원하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해결책을 전달하는 큰 솔루션으로 변하고 있다. 이런 IT벤더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오다임 역시 Big 'S'를 제시해야 할 준비가 필요하지 않을까? |
 | | |
마케팅 동향 |
필립스 조명발 캠페인 |
2013년 6월, 강남역 11번 출구에는 색다른 부스(Booth)가 설치되었습니다. 바로 조명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실험하기 위한 부스인데요. 이 대규모 깜짝 실험에는 일반 조명과 홈조명을 설치하여 각 조명에 따른 사람들의 다양한 반응을 관찰하였습니다. 과연, 일반 조명과 홈조명에 대해 사람들은 어떤 차이를 느꼈을까요?
Fact: 필립스 LED 홈조명은 전기료 절감, 전구의 긴 수명, 친환경이다 Insight: 조명의 가치 Slogan(Key message): 조명이 바뀌면 가치도 바뀝니다 Campaign Name: 조명발 캠페인
Fact를 기반으로 조명이 가치를 바꿔준다는 insight를 뽑았다. 이를 체험을 통한 공감으로 어필했고, 홍보의 거부감을 덜어낸 실험카메라 영상으로 제작해서 그 공감을 확산시켰다. 체험과 공감의 거점으로 삼은 캠페인 블로그는 다양한 이벤트와 연동하여 action까지 끌어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온오프라인이 잘 어우러진 캠페인이라 생각한다. |
 | | |
TREND |
'아프리카TV' 인기 비제이 3인방 인터뷰 |
바야흐로 인터넷 방송 전성시대다. 하루 평균 시청자 수 300만명, 특히 게임과 스포츠 중계 분야가 급상승했다. 방구석 연예인들이라 불리는 인터넷 개인방송을 하는 비제이(Broadcasting Jacky)들은 인터넷 스타가 되어 그들의 영역을 확장 중이다. 우리의 프로젝트 중 타깃이 일치한다면 새로운 채널의 홍보수단으로 이들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되겠다. |
 | | |
WEEKLY CHOICE |
Adobe Create Now Tour를 방문한 CEO |
IT 컨퍼런스는 통상적으로 호텔, 세미나 대여공간과 같은 장소에서 진행된다. 특히, B2B관련 행사의 경우 더 더욱 그렇다. 지난주 Adobe Create Now Tour행사는 광장동 유니클로 악스홀에서 진행되었다. 위치도 그렇고, 유니클로란 기업 소유의 공연장? 행사장으로 쉽게 결정하기 힘든 장소로 보인다. 행사 전, 악스홀에 가 보았다. 콘서트/연극 공연장이 다 그렇지만 깨끗하고 정리 정돈된 모습보다는 시커먼 실내 분위기, 지저분한 주변환경이 호텔에 익숙한 내 생각을 흔들었다.
행사 당일 적당한 데코레이션과 행사준비가 끝 난 장소를 다시 갔다. 입구에 들어 선 순간, "문화 예술적 코드가 숨겨진 공간과 Adobe고객인 디자이너들과 정서적 부합, 감성적 공감지수가 높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SNS에 글을 올리고, 클라이언트와 장소에 대해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누니 지저분한 바닥이 빈티지 룩으로 보이고 공연장에 그려진 그림도 Adobe의 문화와 조화를 이루는 것 같았다.
"이 곳 음향 시설이 정말 뛰어 납니다." 외국 강사의 말이다. 현장에서 강사와 시간을 보낸 김장환 국장은 스피커에게 이 공연장은 설계 시 일본 음향 엔지니어들이 설계를 해서 공연장 어디서 듣던 부드럽고 깨끗한 음향 전달이 가능하다고 코멘트 했다. 실제로 여기 저기 장소를 옮겨 소리를 들어 보니, 호텔에서와는 다른 격이 있는 음향이 들리는 것 같았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