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의 니즈(Needs)는 다양화되고, 전문화되고 있어 고객을 관리하고 유지하는 기업의 마케팅 서비스는 고객 개개인의
성격이나 취향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는 활동에 중요성을 두고 있다.
두드러지진 않지만 중요함이 강조되고,
고객 개개인의 Needs와 Wants를 파악하여 적합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역할이 필요하고,
잠재적인 고객을 가망 고객으로 만들어야 하는,
고객과의 가장 접점에서 고객의 반응을 체크하며,
점차 다양성과 전문성, 그리고 명확한 결과물을 만들어 내야 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1. 고객에게 다가가라.
타겟고객을 대상으로 전화와 음성을 매개체로 다양한 다이렉트 마케팅 활동과 상호 연계하여 적극적이고
의도적이며 쌍방향으로 인간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2. 잠재 고객, 가망 고객의 획득
인·아웃바운드 텔레마케팅을 통해 광고 및 영업활동, 홍보, 고정고객 확보 등으로 가망·잠재고객을 획득하는중요한 수단이 되며, 가망·잠재고객에게 인지도를 올리며 최소한의 비용으로 마케팅 목적을 달성하는 데
유리하다.
3. 고객에 대한 신뢰성 확보
고객과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활동으로, 과거 마케팅은 기업이 자기 중심에서 마케팅 프로모션을 전개해 왔다면,
철저하게 고객과 1 : 1 커뮤니케이션 관계에서 서로 합리점이나 신뢰성을 제고하는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 텔레마케팅의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 "
1. 명확한 대상고객 데이터
텔레마케팅의 성공 여부는 대상고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와 리스트이다. 신규고객이나 기존 고객 확보를 위한
정확한 데이터가 갖추어져 있다면 보다 적극적으로 전개가 가능하다.
2. 유능한 텔레마케터
상대에게 호감을 주는 말씨와 고객을 설득시킬 수 있는 전문성이 필요하다.
3. 정교한 스크립트
고객에게 어떤 내용을 어떤 방법으로 전달시킬 것인가에 대한 사전에 치밀하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4. 고객 설득커뮤니케이션
고객의 니즈와 문제점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고객 상담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2. 고객의 소리를 들어라.
세미나 진행 후 현장에서 받는 설문지 분석 또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전반적인 피드백을 파악하기 위한 수단은 물론, 고객 반응을 체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철저한
영업활동으로 활용되고 있는 추세라 분석의 형태도 다양해지고 빠른 시간 내에 분석된 자료를 요구하기도 한다.
개인 정보 활용에 대한 동의를 받고, 동의자에 한해 설문지를 스캔하여 첨부(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B는 보다 적극적으로 관리되어 작성되지 않은 목록은 찾아서라도 업데이트를 함으로 정교한 데이타를 구축하고,
고객의 니즈별 분석 또한 복잡해 지고 있다.
행사 시즌이 되면, 정신 없이 바쁘게 돌아가는 네오다임 등록사무국!!!
정해져 있는 일정에 맞춰 업무를 완수하기 위해 오늘도 가장 접점에서 고객을 만나는 중이다.
고정적인 내부 인력 확보가 우선이지만, 필요에 따라 활용 가능한 전문 인력의 확보 또한 어렵지만 가능하게
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들의 역할이 커지고 전문적인 영역으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적극적인 움직임으로 변화에
대응해야 할 시기인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