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Insight 22호
2013-12-10 조회수 : 3056
 |
IT 동향 |
 | |
드론 vs 로봇 … 아마존·구글 "택배 아저씨" 대타 경쟁 |
'무인 택배'는 온라인 쇼핑이 일반화되면서 시도되는 혁신이다. 오프라인 소매업체를 거치지 않고 대형 온라인 유통업체가 제품을 소비자에게 실시간 전달하는 것이다. |
인터넷 기술이 또 다른 로봇기술로 진화했습니다. 진화된 기술은 인간의 생활 방식을 빠르게 변화시키기도 합니다. 마케팅은 어떨까요? 기술의 변화가 주는 프로모션은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
 | |
인간을 대체하는 무인 헬리콥터 |
아마존은 12월1일(현지시간) 유튜브에 '아마존 프라임 에어'를 소개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아마존 프라임 에어'는 아마존이 개발중인 물류 배송 시스템이다. 무인 헬리콥터 로봇 '드론'이 구매자가 물건을 산 뒤 30분 안에 배송지로 물건을 가져다 주는 시스템이다. |
빠르면 2015년 아마존 프라임 에어가 상용화 된다고 합니다. 물류배송뿐만 아니라 피자 배달을 하는 드론, 길 안내해주는 무인 헬리콥터 로봇 등 빠르게 우리의 삶 속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기존의 업무를 하던 '사람'은 로봇과 어떻게 어울려서 새로운 역할을 만들어내야 할까요? |
 | | |
마케팅 동향 |
 | |
Uneasy Tale Book, 적절한 불편으로 아이들이 동화책을 '짚어보게'하라! |
아이들이 동화책을 읽지 않는 것은 동화책의 내용이 재미가 없어서가 아니다. 자극적이고 편리한 스마트기기에 익숙해져, 동화책을 읽는다는 것 자체에 큰 흥미를 못 느끼기 때문이다. 때문에 동화책의 내용을 떠나서 동화책 자체에 손이 가지 않는 것이다. |
스마트기기가 넘치는 시대에 아날로그가 살아남는 방법. 적절한 불편이라는 인사이트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기사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
 | |
신형 제네시스, 미국 딜러들은 어떻게 봤을까? |
단순히 싸고 고장없던 차를 만들던 토요타의 렉서스가 미국에서 빠르게 자리 잡을 수 있었던 것은, 기존의 럭셔리 브랜드보다 뛰어난 성능과 품질이었다. 물론 미국인을 위해 철저히 연구해 미국인이 원하는 포인트를 잡아낸 것도 중요 성공 요인이라 생각한다. |
브랜드를 소비하는 시대, 인터뷰를 한 네 명의 미국 딜러들이 모두 손꼽은 중요한 가치는 무엇이었을까요? 그 가치는 어디서부터 출발해야 할까요? |
 | | |
TREND |
 | |
스토리텔링을 넘어 지금은 '스토리두잉'의 시대 |
스토리텔링에 머무르는 회사는 이야기를 마케팅 부서에서 만든다. 그리고 회사가 고객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는 광고라는 '독점적'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결국 스토리를 개발하는 팀과 제품을 개발하는 팀은 각각 다르게 운영되고, 이 두 팀은 거의 만날 일이 없다. 하지만 스토리두잉을 하는 회사는 CEO를 포함한 전 직원이 다 함께 스토리를 만든다. 그 결과 회사 내 모든 부서의 리더들과 팀들은 스토리에 대해 확실히 이해하고 있고, 회사가 하는 모든 활동은 이 스토리를 기반으로 전개된다. |
단순히 제품을 파는 시대는 끝나고 기업의 가치를 파는 시대가 온 듯 합니다. 기업이 고객에게 줄 수 있는 가치를 정의하려면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어야 하고, 행동으로 옮기려면 모두가 공감하는 비전이 필요합니다. 결국 이 모든 것은 진정성 아닐까요? |
 | | |
WEEKLY CHOICE |
 | |
해외사례: 아날로그 인스타그램의 작은 혁명, 리얼 라이프 인스타그램(Real Life Instagram) |
하루 중 몇 분 만이라도 핸드폰을 주머니 속에 넣어두고 내 옆에 아름다운 삶을 돌보게 하고 싶어서 그는 런던 길거리에 "리얼 라이프 인스타그램(Real Life Instagram)"을 설치했습니다. 리얼 라이프 인스타그램은 인스타그램 앱의 아날로그 버전입니다. 셀로판지와 판지로 프레임을 만들어 사람들에게 '런던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
상품의 기술보다 가치에 집중한 프로모션. 일상 속에서 마주하는 모든 것을 사진으로 담아 공유한다는 인스타그램의 가치가 잘 담겨 사람들의 공감을 이끈 프로모션이라고 생각됩니다. |
 | |
Neodigmer Choice: 모듈식 휴대폰을 위하여 |
이러한 휴대폰을 상상해 보자. 레고 블록처럼 각기 독립된 부품 모듈을 사용자 취사 선택하여 조합하고 조립하여 휴대폰을 만들 수 있다면?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Design Academy Eindhoven)의 졸업생 다버 하컨스(Dave Hakkens)가 생각한 휴대폰의 모습도 그러하다. |
모듈식 휴대폰의 매력은 단순한 멋, 부품의 개인화로 자유로운 커스터마이징과 수리의 용이함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루빨리 상용화 됐으면 좋겠습니다. <기고: 그래픽팀 변진우 팀장>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