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 2시 데이트

RISE with SAP​
SAP와 함께 지능형 기업으로​
빠르게 전환하기

SAP 2시 데이트 Q&A

Q. Dcocument License 라는 의미가 상당히 포괄적인 거 같은데 정확한 의미가 무엇인가요?
A. "Document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레코드입니다. SAP는 오직 SAP Digital Core에서 발생하는 9개의 다큐먼트 유형에 대해서만 SAP Digital Access 라이선스 산정 대상에 포함합니다. "
Q. 기존 User 라이선스 기준으로 구매한 고객이라도 Digital Access 방식의 접근이라고 판단되면 DA 라이선스를 추가로 구매해야 하나요?
A. "SAP Digital Access는 선택사항입니다. 다만, Indirect Access 환경을 사용하는 고객의 경우 Legacy License Model 또는 Digital Access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
Q. 9개의 영역 외 Document는 DA해당되지 않는 건가요. 1.0x로 산정 되는 건가요?
A. 9개 Document를 대상으로 라이선스 합니다.
Q. 각 문서별로 라이센스 구매를 해야하는건가요?
A. 9개의 다큐먼트의 총 수량에 대하여 Digital Access 라이선스를 구매하시면 됩니다.
Q. 파생 Document 구분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 SAP Passport가 적용된 Notes를 적용하시면 구분 가능합니다.
Q. 거래건수나 라인아이템이 많은 산업은 비용이 엄청나게 발생합니다. 업태에 따른 차등 비용 적용이 되나요?
A. 다큐먼트 종류에 따른 가중치만 적용되며 업태에 따른 차등 적용은 되지 않습니다.
Q. 결국 사용량 기준으로 라이선스 과금한다는 얘기인가요?
A. 네, 맞습니다. Digitial Core의 처리 능력을 사용하여 처리가 된 사용량(다큐먼트)기준으로 라이선스 과금하는 방식입니다.
Q. 환경이 변경되면 (예를 들어 ECC때 사 놓으면 하나 업그레이드 후) 다시 사야하는 것인가요?
A. 신규 라이선스를 구매할 필요는 없지만 S/4HANA용 라이선스 전환 절차 고려가 필요합니다.
Q. 싱글메트릭 계약이 되어있는 기업은 계약 갱신 할 때부터 적용되는건가요?
A. Single Metric 계약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논의는 담당영업대표에게 문의하여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Q. 애플리케이션이나 포털사이트로부터 접속을 할때 접속 자체가 Secure하게 connection되는 것인가요?
A. 답변을 위하여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별도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Q. PO 1개 내면 1개의 라이센스가 결국 필요한건가요?
A. Purchasing Document의 경우 Line Item 기준으로 라이선스를 고려하시면 됩니다.
Q. 변경된 라이선스 정책에서 고객이 유리한 부분이 있나요?
A. 웨비나에서 설명 드린 내용 중, 6 Core Values for customers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발주가 1만개 날 경우 1만개가 필요한건가요?
A. Puchase/Order Documents를 의미하시는 거라면, 해당 document는 Line Item을 기준으로 필요한 라이선스를 고려하시면 됩니다.
Q. PO 생성 후, 후속문서 생성되지 않은 건들도 개수 산정에 포함되나요?
A. 답변을 위하여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별도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Q. 문서에 대한 조회는 몇명 혹은 몇 회 하던 과금하지 않나요?
A. 조회(Display)는 산정되지 않습니다. 오직 Digital Core에 Indirect/Digital Access에 의해 생성(Created)된 9개의 다큐먼트만 라이선스 대상이 됩니다.
Q. 추가되는 applicationㅇ에 대한 engine License는 계속 존재하나요 ?
A. Engine 라이선스는 계속 존재합니다.
Q. Retail의 경우 대부분 POS와의 Interface를 받아 Idoc으로 GI/Billing 하여 전표를 생성하는데 이러한 경우 Idoc은 9가지의 문서타입 중 Sales Doc에 포함되나요? 그렇다면 Idoc 수만큼 라이센스가 적용되는 것인가요?
A. Idoc의 타입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Digital Core에 생성된 문서(9개의 다큐먼트타입)로 라이선스가 과금됩니다. 그러므로 실제 Idoc를 통해 SAP의 9개의 다큐먼트중에서 어떤 다큐먼트가 생성되는지 세부 확인이 필요합니다.
Q. 이번 라이선스 정책은 언제부터 시행하나요?
A. 2018년 발표 시점 이후 이미 시행되고 있습니다.
Q. 결국 디지털 억세스만 가져갈수는 없고, 유저베이스 라이선스랑 같이 가져가는 혼합모델이 필요하다는건가요?
A. Direct Human Access의 경우 기존 유저베이스 라이선스를 가져가며 그 이외의 모든 Indirect/Digital Access에 대해서는 Digital Acess 라이선스가 필요합니다. Indirect/Ditial Access를 커버하기 위한 라이선스로 기명사용자 유저와 DA를 혼합하여 가져갈 수 없습니다.
Q. SAP Digital Core에 생성된 다큐먼트는 모두 자체 암호화되어 저장되나요? 국산DRM 솔루션과의 연동은 어떻게 되나요?
A. 답변을 위하여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별도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Q. 라이선스의 구매 프로세스는 예전처럼 계약서로 미리 구매하고 남거나 모자라는지 오딧으로 진행되는 건가요? 아니면 정해진 가격으로 사용량 만큼 후불해도 되는 건가요? 디스카운트는 기존처럼, 고객별로 구매 볼륨별로 다른가요?
A. 구매 절차는 SAP Sales를 contact하시기 바라며, DAAP의 Financial Incentives는 웨비나에서 말씀 드린 2가지 옵션만 제공됩니다.
Q. IDOC --> SAP 오더생성(9개문서)한다면 어떤기준으로 라이센스 발생이 되나요?
A. IDOC를 통해 Digital Core에 생성된 다큐먼트(9개의 다큐먼트) 수량으로 라이선스가 산정됩니다.
Q. 향후 Audit시 기존 USMM 파일 제출처럼 고객쪽에서 간단한 프로그램 실행으로 생성된Document 수량과 Subsequent Document 수량이 명확히 추출 되나요?
A. 현재까지는 Digital Access에 대한 Audit 방식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Q. 라이센스 구입은 사전이 아니라 Data 발생 이후가 되는건가요?
A. 사전에 확보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Q. 웹시스템에서 SAP DB를 직접 엑세스하여 CRUD를 한는것도 문제가 되는가요?
A. 답변을 위하여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별도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Q. SAP ERP와 SAP Cloud는 다르게 이해하면 되나요?
A. 답변을 위하여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별도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Q. Digital Access 기준으로 전환했을 때의 라이센스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해 주나요?
A. DAAP를 이용하여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Q. 라이선스 전환시 비용도 도움을 받을수 있나요?
A. 답변을 위하여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별도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Q. 싱글 메트릭스 계약이 되있는 경우 해당 조건을 추가 가능한 건지, 혹은 새로운 계약을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A. Single Metric 계약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논의는 담당영업대표에게 문의하여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Q. 기존의 라이센스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License Conversion을 할때 유지보수 비용은 줄어들지 않는다고 해주셨는데요. 그럼 유지 보수비용은 기존 비용이 그대로 계승된다고 보면 되는건가요?
A. 네, 맞습니다. 그대로 승계되거나 DA 라이선스 Volume이 기존 Legacy 라이선스의 Volume(Credit)보다 클 경우,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Q. S/4HANA 제품은 DA 옵션만 지원하나요?
A. S/4 Hana의 Indirect/Digital Access용 라이선스는 DA입니다. 다만, 계약 내용에 대한 추가 확인이 필요합니다.
Q. 라이센스 정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 웹사이트나 문서를 제공해 주시나요?
A. SAP 라이선스 정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SAP Software User Right이라는 문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버전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sap.com/about/trust-center/agreements/on-premise/product-use-and-support-terms.html?tag=agreements:product-use-support-terms/on-premise-software/software-use-rights&tag=language:korean#pdf-asset=f8f22ed7-597d-0010-87a3-c30de2ffd8ff&page=1
Q. HEC Subscription 계약 고객이 원할 경우 Digital Access 비용 산정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 되나요?
A. 답변을 위하여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별도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Q. 혹시 SAP Digital Access를 대량으로 구매시에 라이센스가 혹시 볼륨 라이센스 구조도 있나요?
A. DA 가격구조는 구매 Volume에 따라 Unit 단가가 저렴해지는 Tierd Price 구조입니다. 따라서, 구매 Volume이 커지만 Unit 단가는 저렴해집니다.
Q. indirect access 라이선스가 없지만 사용을 하고 있을 시 digital access 라이선스만 추가 구맨 하면 되는건가요?
A. 네, 맞습니다. 다만, 년간 Documents 수량에 대한 파악이 필요합니다.
Q. 라이선스 비용에 기술 지원 비용은 별도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A. 기술지원비용이 Support Maintenance 비용을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네 맞습니다. 별도입니다.
Q. SAP Digital Access를 통한 다큐먼스 라이센스 비용을 산정 후 실제 사용량과 결산할 때 어느 정도 오차를 감안할 수도 있나요?
A. 오차를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고객의 사용 구조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Q. 인터페이스 라이선스는 기명으로 구매 하여야 하는가요?
A. 답변을 위하여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별도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Q. time management 의 경우에 생성된 다큐먼트 건수 산정의 자세한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요? (일자/사번 별 등)
A. 9개 Document 모두 연 간 발생 건 수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Q. S/4HANA 에서는 digital access 만 사용해야 하나요?
A. S/4 Hana의 Indirect/Digital Access용 라이선스는 DA입니다. 다만, 계약 내용에 대한 추가 확인이 필요합니다.
Q. ByDesign에도 적용되는 라이센스 모델인가요?
A. ByDesign에는 적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Q. 향후에도 기존 라이선스 모델을 새로운 다큐먼트 기반 라이센스 모델의 결합 또는 통합하여 사용이 가능한 지원이 향휴에도 "대혼란"의 이유로 불가능할지요.
A. 기존/신규 방식의 혼용 사용은 향후에도 없을 것이라 사료됩니다.
Q. 현재 라이센스와는 별개로 Indirect Access 가 있다면 해당 Access를 측정해서 사용량에 해당하는 만큼의 라이센스를 추가 구매해야하는건가요?
A. 네, 맞습니다.
Q. 나중에 다큐먼트 갯수가 줄어들게 되면 그만큼 라이선스를 반납하고 환불 받을 수 있나요?
A. 라이선스에 대한 사용은 사용권 부여의 개념이기 때문에, 부분 해지는 가능하지만 구매 당시의 금액을 환불하지는 않습니다.
Q. 지금 사용하고있는 SAP ID의 등급구분 없이 디지털 라이선스를 사용 가능 한가요?
A. DA는 Non-SAP를 통해 발생한 Transactional Data를 대상으로 Licensing 됩니다. 따라서, SAP ID 등급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Q. 단순한 예제가 아닌 실제 전표량에 의한 라이선스 과금 case를 볼 수 있을까요?
A. 특정 고객의 정보가 포함된 예제는 보안 상, 공개할 수 없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Q. 증가될 경우 필요한 만큼 추가 구매하면 되는데 감소할 경우도 변경이 가능한 건가요?
A. 라이선스에 대한 사용은 사용권 부여의 개념이기 때문에, 부분 해지는 가능하지만 구매 당시의 금액을 환불하지는 않습니다.
Q. External Processing을 하는 경우 Production order만 대상인가요? Purchase order도 포함인가요?
A. 문의하신 환경에 대해서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환경 정보를 알려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다만, 문의하신 External Processing 으로 Indirectly SAP Digital Core가 사용되어 9 Documents에 해당하는 Document가 생성되었다면, 해당 Document에 대한 라이선싱이 필요합니다.
Q. 800개 이상의 구매 고객 분포도도 혹시 알 수 있을까요?
A. 고객 분포도에 대한 정보는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Q. 트랜잭션 수행 후 발생한 도규먼트에 대해서 취소(삭제)하게 되면 삭제한 도큐먼트는 카운팅 되지 않나요?
A. 다큐먼트 생성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취소/삭제 다큐먼트를 차감하지 않습니다.
Q. DA 라이센싱에 대해서는, 기존 ESS 유저 라이센스 사용 타입과 관련없이 모두 동일한 것인가요?
A. Digital Access 라이선스와 ESS Named User 라이선스를 동일 대상으로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ESS Named User를 indirect use 용도로 사용하는 환경에서 대체 가능 여부 등 추가적인 정보 공유와 함께 검토해야 할 사항으로 판단됩니다.
Q. 새로운 라이센스 방식을 회사가 도입하려고 할때 전/후에 대한 예상 비용 및 기대효과에 대한 예측방법 또는 관련 자료를 받을수 있을까요?
A. 권고 드리는 절차는 웨비나에서 말씀 드린 3가지 고객 유형 사례 장표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추가적인 문의는 DAAP Request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Q. 기존고객이 Digital access license를 적용한 경우에 라이센스 비용이 어떻게 변화 되는지에 대한 사례를 볼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A. 고객사의 라이선스 비용 변화 사례는 아직 제공되고 있지 않습니다.
Q. 레코드 단위로 디저털 라이센스를 구매해야 한다고 하는 데 규모를 알수 없네요. 사전에 검증을 할 수 있는 가요
A. "현재 지원하고 있는 Tool은 SAP Notes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DAAP 측정 단계에서 말씀 드린 두 가지 옵션과 관련된 SAP Notes는 다음과 같습니다. Option1. Estimation Tool - SAP Notes 2644139 (for ECC customers), SAP Notes 2644172 (for S/4HANA customers) Option2. SAP Passport 기능 적용 Tool - SAP Notes 2638406 (for both ECC and S/4HANA customers)"
Q. SAP GLAC의 "GLAC"가 무엇인가요?
A. Global License Audit and Compliance의 축약어로 SAP에서 License Audit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조직입니다.
Q. 발행 데이터 건수에 따라 과금이 달라지나요?
A. Digital Access Pricing에 대한 문의로 이해하여 답변 드립니다. Digital Access 라이선스는 볼륨 프라이싱 형태로 구간 별 Price가 다르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Q. 사용자 입장에서 어느것이 유리한지 가이드가 가능한지요?
A. 해당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만, SAP 사용 환경 정보가 제공되어야 가능합니다.
Q. 산정된 다큐머트 수량의 115%에 대하여 라이센싱을 한다는 것이 추가적인 증가 비용 15%을 비용처리하는 정책인가요?
A. Digital Access 라이선스를 DAAP 프로모션을 통하여 구매하시는 경우에 제공되는 옵션입니다. 확보 대상 라이선스가 115%이며, 비용 투자는 15%에 대하여 표준 할인을 적용하게 됩니다.
Q. 산출 시뮬레이션을 할수 있는 페이지나 엑셀 제공 가능한가요?
A. 견적에 대한 문의는 Sales에서 지원 예정입니다.
Q. 옵션1 GLAC 조직의 측정서비스는 비용이 발생하나요?
A. DAAP 프로모션 기간 중에는 비용 발생 없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Q. 다큐먼트 수량 카운트시 발생/취소 건에 대해서 모두 카운트가 되는건가요?
A. 다큐먼트 생성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발생 건은 대상으로 분류되며, 발생 후 취소된 건도 카운트 대상이 됩니다.
Q. DA 정책이 향후 SAP의 라이선스 정책 방향으로 다른 제품에 대해서는 적용될 수 있을까요?
A. 현재는 Digital Core에만 적용하고 있습니다.
Q. 라이센스 정책의 변화에 따른 측정 방식이 바로 요금과 연결 되므로 산정에 대한 추정과 검토 방식에 대해 SAP에서 지원 또는 Tool을 제공 받을 수 있나요?
A. "현재 지원하고 있는 Tool은 SAP Notes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DAAP 측정 단계에서 말씀 드린 두 가지 옵션과 관련된 SAP Notes는 다음과 같습니다. Option1. Estimation Tool - SAP Notes 2644139 (for ECC customers), SAP Notes 2644172 (for S/4HANA customers) Option2. SAP Passport 기능 적용 Tool - SAP Notes 2638406 (for both ECC and S/4HANA customers)"
Q. ECC를 S4/HANA로 전환 할 경우 ECC에서 사용하던 Indirect 라이선스를 그대로 전환 할 수 있나요?
A. S/4HANA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전환을 지원하는 프로세스가 제공됩니다.
Q. 표준 할인율 외에 고객들의 사용현황별로 가중치 할인율을 적용하는 Rule도 혹시 있는지요?
A. DAAP 프로모션을 통한 Financial Incentive는 2가지 옵션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두 가지 중 Benefit이 큰 옵션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Q. 고객이 기존 계약 유지를 선택할 경우 Indirect Access 수량을 검증할 방안이 명확히 구체화, 준비 되었나요? 향후 기존 유지 고객에 대한 Indirect Access Audit은 어떻게 진행할 계획인가요?
A. License Audit을 통한 검증 방법은 Audit 수행 시 안내 드리고 있습니다.
Q. digital access 라이선스의 list price는 어떻게 되나요?
A. 가격 정보는 SAP Sales 또는 SAP Partner사를 통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 time management 의 경우에 생성된 다큐먼트 건수 산정의 자세한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요? (일자/사번 별 등)
A. 9개 Document 모두 연 간 발생 건 수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Q. 기존 온프레미스 고객이 전환할경우 비용 차이는 어떻게 될까요?
A. 사용 환경에 따라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웨비나 중에 3가지 고객 사례에 대해서 말씀 드린 내용이 있는데, Case B의 경우처럼 계약 변경 등의 최소 코스트만 발생하는 케이스도 있을 수 있고, 신규 투자 비용이 발생하는 Caes C의 경우도 있습니다.
Q. Indirect acess의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트랜잭션(문서생성)기준인가요?단순 데이터만 테이블에 저장되는 경우는 Indirect access 로 구분되나요?
A. Digital Access 적용 시 라이선스 대상이 되는 Indirect Access 범위에 대한 문의라면, 웨비나에서 설명 드린 9가지 Document 생성에 국한됩니다. 9가지 Document외 indirectly 생성된 Document에 대해서는 추가로 과금하지 않습니다.
Q. "Request Form"을 작성을 해야 할때 한글 버전은 없고 오직 영문 버전인건가요?
A. 현재 Digital Access Evaluation Service에 대한 "Request Form"은 현재 영문 버전만 있습니다.
Q. Indirect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Audit 진행 시에 Document 사용량을 함께 측정하나요?
A. Digital Access 라이선스 모델은 고객의 선택사항입니다. 따라서 SAP License Audit 과정에서 Indirect Access에 대해 고객이 DA 모델을 선택한경우에는 GLAC 팀과 함께 Document 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Q. 선택별 지원은 인터넷사이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기술 소통이 가능한 구조라고 보면 되는지요.
A. 답변을 위하여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별도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Q. 디지털억세스는 결국 네임드유저 라이선스를 대체하는게 아니라 유저라이선스는 기본으로 가져가고 인다이렉트 부분만 별도로 적용되어서 유저랑 도큐멘트 둘다 측정이 필요하다고 이해하는게 맞는지요?
A. Digital Access는 Indirect/Digital Access에 대한 새로운 라이선스 모델입니다. 기존 Named User 방식은 동일합니다.
Q. 연간 사용 추산을 위해 소요되는 몇개월이라는 것이 2~3개월정도의이내에서 가능하다고 보면 되는지요.
A. 고객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3개월 정도 적용하면 연간 수치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다큐먼트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다큐먼트가 많이 생성되는 피크 시즌의 다큐먼트 증가량을 고려 요소로 반영하시기 바랍니다.
Q. 라이선스 컨버전 비용이 어떻게되나요?
A. 고객이 보유한 라이선스 수량 및 고객 계약상황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담당 영업을 통해 논의하시길 바랍니다.
Q. 필요에 의해 라이선스를 줄였다 늘였다 할 수 있나요? 최소 기간은 어느 정도인가요?
A. 향후 부족분에 대해서는 추가구매하실 수 있지만, Document 수가 감소하였다고 DA 라이선스를 변경하여 감소시키지는 않습니다.
Q. Audit 가이드에 나와있는, Note 2644139 가 SAP Passport Tool 이라고 보면 되는지요?
A. Notes 2644139는 ECC 버전의 Document 측정에 대한 내용이고 SAP Passport 는 Notes 2738406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Q. GLAC 조직과 협업으로 측정 할 경우 연간 사용량이 바로 측정되나요?
A. 먼저 Notes 2644139를 수행한 후 GLAC 조직과 협업하여 연간 사용량을 추산할 수 있습니다.
Q. SAP는 Constellation ShortList에 선정 되었다고 어디선가 들었던거 같은데요. 이게 무슨 의미인가요?
A. Constellation ShortList™는 얼리어답터와 관련된 다양한 카테고리의 시장 내 벤더사들을 소개하는 목록입니다. 여기에 이름을 올렸다는 것은 SAP가 시장에서 제공하는 솔루션업체 중 선두주자이며 향후 관련 솔루션 영역에서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는 뜻입니다
Q. 매년 Document 수는 유동적일 것 같은데, SAP사에서도 라이선스도 매년 유동적으로 변경 가능 한가요?
A. 매년 측정되는 Document 수는 유동적일 수 있습니다. 기 구매한 DA 라이선스에 증가된 Document 수 만큼 추가구매를 하면 됩니다. Document 수가 감소하였다고 DA 라이선스를 변경하여 감소시키지는 않습니다.
Q. 매년 총 Document 수량 변동내역을 반영하여 DA 계약을 연 단위로 변경하여 계약도 가능한가요?
A. 매년 측정되는 Document 수는 유동적일 수 있습니다. 기 구매한 DA 라이선스에 증가된 Document 수 만큼 추가구매를 하면 됩니다. Document 수가 감소하였다고 DA 라이선스를 변경하여 감소시키지는 않습니다.
Q. 저희는 Single Metric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EULA계약으로 전환할 수 있는 Option도 있는데, 전환시 DA를 적용시 얼마의 비용이 나올지 SAP에서 산정해 주시는 건가요?
A. Single Metric 계약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논의는 담당영업대표에게 문의하여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Q. 모듈별로 DA 방식과 기존 네임드 유저 방식으로 구분해서 사용할 수는 없나요?
A. 모듈별로 구분해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Digital Access 방식은 Digital Core 시스템을 대상으로 합니다
Q. 앞으로 GLAC에서 진행되는 license audit에서는 indirect 에 대한 부분을 무조건 측정하는건가요?
A. SAP License Audit의 표준절차와 범위에 따라 고객의 Indirect Access에 대한 부분이 검토될 수 있습니다.
Q. s4hana로 컨버젼한 상태입니다. 싱글메트릭이구요. da로 변환을 해야 하는건가요?
A. Single Metric 계약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논의는 담당영업대표에게 문의하여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Q. 예전에 RFC로 해서 외부에서 생성하는 것은 이제 DA로 해서 인다이렉트로해서 하라는 거죠?
A. 기존 Indirect/Digital Access에 대한 새로운 라이선스 모델로 Digital Access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Q. 국내은행에 도입사례가 있나요?
A. 고객사의 라이선스 도입 내용은 고객의 동의없이 배포되지 않습니다. 특정 산업군의 사례는 담당영업에게 문의 및 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Q. 측정 Note는 언제쯤 배포가 되나요?
A. SAP Note이미 SAP Support Portal에 배포되었습니다. SAP Notes 번호 2644139(ECC), 2644172(S/4HANA) 및 2738406(SAP Passport)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Q. financial incentive에 대해 한 번 더 설명 부탁드립니다.
A. Financial Incentive 는 (A)산정된 다큐먼트 수량의 115%에 대하여 라이선싱하되, 15% Growth에 대해서만 비용 지불 하는 방식과 (B) 측정한 다큐먼트 수량 100%를 90% 할인으로 도입하는 방식 크게 2가지로 구분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담당영업대표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Q. DA 계약으로 변경하는 경우 GLAC 라이선스 측정방식(USMM 및 SLAW 실행)도 많이 바뀌나요?
A. Document 수량 측정을 위한 Audit 방식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Q. audit 측정하는 방식은 기존 오딧방식이랑 똑같이 진행하는지 내용도 같이 공유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A. Document 수량 측정을 위한 Audit 방식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Q. Rfc인터페이스를통해조회만 하는경우도 라이센스가 필요한가요?
A. Digital Access 모델하에서는 외부시스템으로 부터 Digital Core에 Document를 생성할때를 기준으로 Counting합니다. 따라서 Digital Core의 Data를 RFC로 연결 인터페이스하여 조회하는 경우는 DA 라이선스가 필요하지 않습니다.